유미가 들려주는 이야기
양육 태도의 중요성 본문
모든 인간은 태어나서 최초로 가정이라는 사회를 접하게 되며 가족을 통해서 기본생활습관을 배우고 사회성을 위한 기술을 습득하며 성장하게 된다. 유아는 특별히 어머니의 정서적 지지와 사랑의 돌봄을 통해 발달을 이루고 성장한다. 어머니는 유아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유아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다.
추성경(2011)의 연구에서 어머니가 애정적인 양육 태도로 양육한 경우 유아는 자기 조절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llins와 Read(1990)는 자신과 타인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자녀들은 부모에 대한 인식이 애정적이고 수용적이지만 부모에 대하여 거부적으로 무관심하게 인식한 자녀들은 부모에게 사랑받지 못하거나 거부당하는 것에 대한 불안한 감정과 부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며 타인에 대하여도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된다.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타인의 상황을 배려하는 부모의 행동을 보며 긍정적 양육을 받고 자란 유아들은 부모와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서로 간에 갈등이 적으며 정서적으로 안정적임을 보고하였다(추성경, 2011). 부모의 거부적인 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과 관련한 연구에서 아동의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요인을 어머니의 거부적이고 부정적인 양육 태도와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허용, 아동의 충동성과 급한 성미의 기질적 특성과 부모의 체벌로 보았다. 어려서 부모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거부적인 태도의 양육을 받은 아동은 문제행동의 청소년으로 성장한다(김은주, 2016).
이처럼 어머니는 자녀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양육 태도는 자녀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반대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부모의 양육 태도는 부모-자녀 간 관계의 질을 형성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매우 중요하다. Symond(1949)은 정신분석 이론을 적용하여 부모의 양육 태도를 체계화했는데, 부모와 자녀 관계를 거부-수용, 지배-복종을 양극으로 하여 거부적 태도에 적극적 거부형과 소극적 거부형, 보호 적인 태도의 간섭형과 불안형, 지배적인 태도의 엄격 형과 기대형, 복종적인 태도의 익애(溺愛)형과 맹종형으로 분류하였다. Symond의 이론은 어머니의 양육 태도를 체계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양육 태도를 부정적으로만 설명하였고,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건전한 태도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에서, 어머니의 양육을 일상적인 규범에 근거해 설명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이원영, 1983). Schaefer(1961)는 Symond의 양육 태도에 대한 분류가 부정적인 측면만 강조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새로운 도구 PARI(parental attitude research instrument)를 개발하였다. 이후 Schaefer(1965)는 신생아 초기부터 청년 초기까지의 자녀의 발달과 부모의 양육 태도를 연구하며 어머니의 양육 태도 요인을 애정적-거부적, 자율적-통제적 두 개의 축으로 설명했다. 그의 연구는 부모의 양육 태도에 대한 개념적 통합에 크게 이바지했으며, 많은 학자가 그의 연구결과를 받아들이고 있다(이원영, 1983). 또한, Shaefer는 정상적인 부모 양육 태도에 대한 가설적 원형모형을 제시하였다.
산업화로 인하여 최근 우리나라는 가정에서 주 양육자의 위치에만 있던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확대되면서 여성의 저출산이 일반화되고 있다. 또한, 핵가족화로 인하여 자녀 양육의 환경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어머니의 경제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가정의 경제소득이 높아지고, 자녀들의 교육 수준이 높아졌지만, 자녀에 대한 과잉보호의 양육도 늘어났다. 과보호라는 용어는 1929년 Levy의 부모-자녀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다(박영심, 2014). 그는 과보호를 자녀에 대한 지나친 통제, 자녀의 독립적인 행동 저해, 자녀에 대한 과도한 신체ㆍ사회적 접촉, 유아 취급의 연장으로 보았다. Erikson(1977)은 정서발달의 첫 단계인 아동기의 기본적인 신뢰감은 어머니와의 좋은 관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아동의 성장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환경은 가정환경 중 부모나 주 양육자가 어떠한 태도로 양육하였는가에 따라 부모-자녀의 관계에 차이가 있으며, 양육 태도는 자녀의 발달 형성에 지적·정서적·성격적·측면에 영향을 미친다(이원영, 1983). 그러므로 유아에게 가장 중요한 환경 요인은 다름 아닌 가정환경이며 그중에서도 주 양육자가 자녀를 대하는 정서적ㆍ인지적 행동의 표현 양식인 양육 태도를 매우 중요한 환경 요인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