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유미가 들려주는 이야기

놀이활동의 치료적 요인과 치료성과 본문

Story

놀이활동의 치료적 요인과 치료성과

_윰윰 2021. 2. 21. 10:20

아동심리치료자들은 아동이 스스로 만들어 낸 환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이를 어떻게 치료에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많다. 아동들은 자신이 성취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갖고 있으며 그러한 자신만의 생각과 감정을 놀이를 통해 드러내고 표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활동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한다. 긍정적인 자아개념은 아동에게 안정감을 준다. 또한 집중력과 인내심을 가질 수 있도록 자극하며 성취감과 흥미를 증진시켜 자아의 발달이 지속될 수 있도록 스스로를 자극하고 격려한다. 이것은 치료적 입장에서 볼 때 내면적 갈등이나 욕구 좌절을 놀이 활동을 통해 이완하거나 해소한다고 볼 수 있다. 아동의 부적응 상태가 적응 상태로 바뀌어가면서 정신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것은 심리치료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아동이 표현하는 놀이 활동은 새로운 신화를 자신에게 맞게 재창조하기 때문에 아동의 놀이에서 중요한 요소로 은유와 신화창조를 들 수 있는 것이다. 신화 작업은 우뇌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동화, 환상 놀이와 같은 표현놀이는 무의식의 세계를 직접적으로 재구조화하고 의미화하는 작업을 현실에서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겉으로 드러나는 것이다. 신화는 상징을 동반한다. 또한 문제 해결 능력을 갖고 있는 신비의 세계이다. 신화의 이러한 특성은 동화의 세계와 비슷하며 아동의 놀이 세계와도 동일하다. 그렇기 때문에 놀이 활동은 신화적 행위와 심리치료적 힘을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놀이는 정신의 움직임과 변화에 관한 3차원적인 묘사이다. 아동의 놀이에는 신화적 주제가 빈번히 나타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아동의 놀이에 신화적 묘사가 없다고 하더라도 놀이는 안정을 위한 정신의 움직임을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출처 : 픽사베이 >

이러한 놀이활동과 치료적 관점을 미국의 놀이치료학계의 원로인 쉐퍼(Schaefer)는 놀이 과정에서 아동에게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아동의 문제적 증상을 완화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켜 적응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쉐퍼가 제시한 놀이의 치료적 요인과 치료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는 치료에서 보이는 저항을 극복하고 친밀감을 형성시켜주는 좋은 방법이며, 이는 치료동맹을 형성한다고 하였다. 둘째, 아동은 언어적 측면보다는 의식적 수준의 놀이 활동에서 생각과 감정의 표출이 잘 된다. 그렇기에 무의식적 수준의 놀이에서 소망과 갈등이 더 잘 표현된다. 이는 의사전달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놀이 활동은 아동이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자신을 표현하는 자기표현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아동은 놀이 활동에 쉽게 몰입한다. 왜냐하면 놀이 활동은 누군가의 강요로 하는 것이 아닌 자발적인 활동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환경을 통제한 성취감의 원동력이 될 수 있으며 아동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능감을 경험할 수 있다고 하였다. 넷째, 놀이 활동은 아동에게 놀이공간에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가능성과 안정감을 제공한다. 그래서 아동은 강력한 정서적 발산의 정화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 감정의 정화는 아동의 정서적 발달을 촉진하기에 아동에게 긍정적이다. 다섯째, 아동은 정서적 발산의 정화를 넘어서 정화보다 더 강력한 정서 발산의 소산 작용을 경험할 수 있다. 소산이란 해제 반응이라고도 하는데 프로이트가 신경증 치료에 적용한 중요한 치료기법 중 하나이다. 소산은 이야기를 함으로써 외상적 기억과 연합되어 있는 정서와 감정을 방출하는 것이며, 아동은 놀이를 통해 외상사건을 재경험하게 되며, 놀이를 반복할수록 점차 외상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놀이는 아동의 외상을 재경험하고 극복하여 적응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본 것이다. 여섯째, 아동은 환상적인 놀이에서 결핍된 자신의 상처, 상실을 보상받고 욕구를 채울 수 있다고 보았다. 쉐퍼는 비록 이것이 실제가 아닌 상상적 보상이지만,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은 물론, 효과적이라고 보았다. 일곱째, 놀이는 즐거움을 동반한다. 그래서 놀이 활동을 통해 긍정적 만족과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긍정적인 정서와 행복감, 즐거움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해독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아동이 아닌 청소년, 성인, 노인 등 누구에게나 좋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놀이는 놀이 활동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연습하고 타인의 역할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런 활동은 객관적인 관점으로 당시의 상황을 볼 수 있게 해 주며 새로운 관점으로 상황을 이해하도록 자극하여 공감능력을 키우게 해 준다고 보았다.

Comments